"LH 청년 주택 어떻게 신청해야하지?"
차근차근 따라해보기!
- 청년재단 청년기자단 서혜원
요즘같이 주거난이 심각할 때, 어쩔 수 없이 원하지 않는 곳에서 살고 있는 분 계시나요? 취업도 취업이지만 ‘내가 편히 쉴 곳’이 없다는 불안감이 크게 다가올 것 같아요.
저는 2018년도에 LH 청년전세임대주택에 지원해서 집을 계약했는데요. LH 청년전세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시행하는 주거복지사업으로, 주거복지가 필요한 청년들을 모집 및 선정해서 기존에 있는 주택의 전세계약을 통해 저렴하게 재임대합니다. 전세금은 LH에서 빌려주고, 정해진 이자금을 매달 내는 형식이죠!
주변에 독립을 생각하고 있거나 이미 독립한 후 월세 지출이 부담됐던 친구들이 제게 LH 주택 신청 절차 등을 묻곤 했어요. 저도 처음으로 신청해보는 거라 헷갈리고 절차가 어렵게 느껴졌었는데요. 이 포스팅을 보는 청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잘 정리하여 소개해드리고자 해요!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 절차
무주택자, 월 소득 100%이하의 1인 거주 예정인 청년들을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마이홈 들어가기★
(지원 자격과 복지 유형 파악)
처음 접하는 청년분들은 LH청약센터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생소한 단어들로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도 있을거에요. 또한 지원자격에 따라서 유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우선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운영하는 ‘마이홈’에 접속하셔서 자가진단을 받은 후 안내해주는 대로 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마이홈 바로가기
▼▼▼
내게 맞는 주거복지 지금 내 상황에 맞는 주거지원서비스를 한눈에 찾아보세요! 주택 지원 자금 지원 임대모집공고 공공분양모집공고 더보기 완주삼봉 A-1BL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추가모집 지역 : 전라북도 공고일 : 2019-02-25 당첨자 발표 : 2019-06-05 천안신불당 행복주택(아산탕정1-A1BL) 입주자 추가모집 지역 : 충청남도 공고일 : 2019-02-25 당첨자 발표 : 2019-05-22 천안신불당 국민임대주택(아산탕정1-A1BL) 입주자 추가모집 지역 : 충청남도 공고일 : 2019-02-25 당첨자 발표 : 20...
www.myhome.go.kr
마이홈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첫 화면 중앙에 내게 맞는 복지,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배너가 보일거예요
오른쪽 아래 ‘마이홈 자가진단’ 배너 클릭하면! ‘전월세나 집수리가 필요하시나요?’ ‘대출이 필요하시나요?’ 라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저렴하게 거주할 집이 필요하세요?’ 클릭!
청년들이 많이 해당할 것 같은 조건을 무작위로 클릭해봤어요! 본인에게 해당사항을 모두 선택해주시고 혹시나 틀리게 선택하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모두 초기화 되는 ‘다시하기’말고, 오른쪽 맨 아래 ‘이전단계’를 눌러야 일부만 수정하실 수 있어요.
이렇게 뜬답니다, 입주신청 가능한 임대주택 유형으로 전세임대와 뉴스테이가 뜨네요, 뉴스테이는 제가 신청할 당시에도 그랬지만 아직까지 해당되는 지역이 많지 않아 꾸준히 진행되어 지역 별로 활성화된 전세임대주택 조건을 살펴볼게요.
혹시 다른 임대주택의 조건도 궁금하신 분들은 홈페이지 내에서 다른 유형을 클릭하시면 자격 요건이 상세히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여기서 용어를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소득분위를 알아야해요, 월평균 소득을 보기 때문에 국가장학금과는 다르게 산출되는 점 알아두시고요~ 본인의 정확한 소득분위를 모른다면 국세청에서 월평균소득을 조회해보셔도 좋아요
소득기준 | 3인이하 | 4인 | 5인 | 6인 | 7인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50% | 2,501,295 | 2,923,452 | 2,923,452 | 3,110,003 | 3,312,905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70% | 3,501,813 | 4,092,832 | 4,092,832 | 4,354,004 | 4,638,067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80% | 4,002,072 | 4,677,522 | 4,677,522 | 4,976,004 | 5,300,648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 5,002,590 | 5,846,903 | 5,846,903 | 6,220,005 | 6,625,810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150% | 7,503,885 | 8,770,355 | 8,770,355 | 9,330,008 | 9,938,715 |
또한 기존전세임대는 등본을 떼어봤을 때 나오는 신청자의 소득을 봅니다. 이를테면 제가 현재 거주하는 집이 따로 있고 전입신고를 하여 세대가 분리되고 등본에 1인가구로 찍히면 오로지 제 소득만 확인하는 거죠. 그리고 현재 전입신고가 되어있는 지역에서만 신청이 가능하답니다. 그러나 청년,대학생 전세임대는 부모님 소재지 이외 지역에서 신청가능하고, 신청자 및 부모님의 소득까지 합산한 기준으로 소득분위를 측정한다는 점이 달라요.
기존 전세임대의 자격조건은 1순위(차상위계층 및 장애인 등), 2순위(월 평균 소득 50%이하) 까지만 있는데 비해, 청년·대학생 전세는 1~3순위까지 있는데요, 현재(19.2.19 기준)는 1~2 순위만 상시모집을 하고 있으니 3순위 공고는 아직 미정입니다.
자가진단을 통해 어떤 유형이 본인에게 해당하는지 확인하셨다면, 공고가 어떤 식으로 떴는지 살펴볼까요? 지역별, 지도별로 살펴보는 방법도 있답니다.
현재 어떤 지역에 어떤 조건에 해당하는 공고가 떠 있는지 대상 조건을 클릭하는 식으로 확인 해볼 수도 있답니다!
★두 번째, LH 청약센터!★
마이홈에서는 주거복지 지원자격이나 복지 유형을 알기 쉽게 안내하고 있답니다. 구체적이고 최근의 정보들은 LH 청약센터 홈페이지에 올라온 것을 참고하시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답니다. 현재 진행 중인 공고를 유형별로 꼼꼼히 비교해보세요!
LH 청약센터 바로가기
▼▼▼
무주택 청년들이 1인 가구로 살기 위해서 주로 신청할 수 있는 유형은 현재 주로 이 2가지가 있어요. (신혼부부 유형은 혼인기간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이 신청하는 등 조건이 다르니 참고해주세요!)
1. 전세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
-기존전세임대주택 (올해 시기 미정)
-청년전세임대주택(대학생, 청년 대상 - 2년 단위로 자격이 된다면 6년까지 계약 연장이 가능)
검색결과를 봐주세요! 현재 진행 중인 전세임대는 상태가 ‘접수중’이라고 표시되어 있답니다. 지금 진행중인 전세임대는 ‘4번 청년, 대학생 전세임대 수시접수 1,2순위’ ‘3번 청년, 대학생 셰어형 전세임대 수시접수 안내’ 이렇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기간을 조금 다르게 해볼까요? 작년에 나온 공고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어요. 전세임대주택 같은 경우 올해 시행되는 기간은 미정인데요. 3순위나 기존 전세임대주택(1, 2순위) 공고를 노리고 계신 분들은 수시로 확인해야 하냐구요? 포스팅 마지막에 마이홈 콜센터 부분을 확인해주세요!
최종학교 졸업 후 2년 이내였던 자격요건이 확대되어 만 19~39세까지 가능하다고 해요. 이 역시 자격이 된다면 2년 단위로 3회까지 계약 연장이 가능하여 최장 6년 거주할 수 있답니다. 현재 기존전세임대주택이나 청년전세임대(현재 1, 2순위만 상시 진행)에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분들은 이렇게 확대되거나 활발히 진행되는 유형에 신청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매입임대주택은 3, 4순위도 모집하고 있거든요.
2. 행복주택
행복주택의 지원요건은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모두 월 평균소득 100% 이하입니다. (단, 청년은 월 평균소득 80% 이하입니다.) 이 역시 자격이 된다면 2년 단위로 3회까지 계약 연장이 가능하여 최장 6년 거주할 수 있답니다. 마이홈에서 지도를 보고 공고를 확인하셨다면, LH 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해당하는 지역의 공고를 확인하시고 접수 진행 상태, 기간 등을 정확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3. 모르면 손해! 꿀팁 2가지
★마이홈 문자신청★
해당하는 주택 복지 유형의 신청 기간이 수시 접수가 아니라서 공고가 언제 뜰 지 모르는 경우, 마이홈 콜센터에 전화해서 문자서비스를 받아보세요. 그럼 이런 식으로 문자가 온답니다!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한국토지주택공사 관심지역
알리미 서비스입니다.
▶제목 : 대학생·취업준비생 3순위(단독)
2018년 전세임대주택 입주자를 모집합니다
▶공급호수 : 2,100호
▶지원한도액 : [수도권 12,000만원]
[광역시 9,500만원]
[기타지역 8,500만원]
▶신청기간 : 0000.00.00~0000.00.00
★청년주택정보카페★
지금까지 설명드린 용어도 어려우신 분들도 있으실 거에요. 조급해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공고문에도 일일이 적혀있지 않은 Q&A사항들을 카페에 있는 회원들에게 물어보거나 이미 질의응답을 나눈 게시글들을 통해 정보를 알아볼 수도 있답니다! 저 또한 계약을 진행하기까지 소소한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꼭 추천드려요!!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주거복지제도
처음에는 다소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제 글이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어 도움이 되길 바라봅니다.
청년들이 주거부담에서 벗어나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청년기자로서 응원하겠습니다!
원문출처 : 청년재단 공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