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24년차
2001년 03월 02일
18명 재직
직원 수
(2024.12 기준)
중소기업
기업형태
14,537,618억
매출액(2024.12 기준)
Blue Light
Red Light
BBB-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나타내 주는 비율로서 영업성과에 미치는 종합적인 효과를 보여줍니다.
[operating income to sales / 賣出額營業利益率]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을 말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파악할 때 자산이나 매출규모가 큰 기업은 당연히 중소기업보다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재무분석을 할때 수익성비율인 매출액영업이익율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비교할때 도움이 된다.매출액영업이익율이 높을 수록 좋지만 업종,
업태별로 기준이 있을 수 있어 경쟁하고 있는 기업이나 유사한 업종의 실적과 비교하는것이 좋다.
NAMU.WIKI 발췌
2024년 기준
8.65%업종 평균대비
높음ratio of net profit to net sales / 賣出額純利益率
매출액에 대한 순이익의 비율을 말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파악할 때 자산이나 매출규모가 큰 기업은 당연히 중소기업보다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재무분석을 할때 수익성비율인 매출액순이익율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비교할때 도움이 된다.
매출액 대비 이익지표로서 마진의 개념이며, 업종과 업태에 따라 수익성이 많이 차이가 나고 기업 규모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매출액순이익율과 같은 수치는 통계청이나 산은경제연구소에서 업종과 업태 별로 확인이 가능하다.
NAMU.WIKI 발췌
2024년 기준
8.15%업종 평균대비
높음기업의 한 해 경영 규모 및 기업활동의 성과가 전년도에 비하여 얼마만큼 증가하였는가를 보여 주는 지표입니다.
[ Net Sales Growth Rate , 賣出額增加率 ]
기업의 성장성 지표 중 하나로 기준연도 대비 비교연도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며 산식은 다음과 같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년 기준
5.33%업종 평균대비
낮음[ Total Asset Growth Rate , 總資産增加率 ]
전기 대비 총자산의 증가율을 보여주는 지표다. 여기서 총자산이란 자본과 부채의 합을 의미하며, 이는 한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성 지표 중 하나로 분류된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년 기준
0.08%업종 평균대비
낮음[ Operating Profit Growth Rate , 營業利益增加率 ]
전기 대비 영업이익이 증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영업이익이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및 판매관리비를 차감한 것으로,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여 벌어들인 총금액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비용을 빼고 남은 이익을 의미한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년 기준
-3.60%업종 평균대비
낮음기업의 재무유동성과 안전성을 나타내는 정태비율을 의미합니다.
[ debt ratio , 負債比率 ]
부채, 즉 타인자본의 의존도를 표시하며, 경영분석에서 기업의 건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기업의 부채액은 적어도 자기자본액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부채비율은 1 또는 100% 이하가 이상적이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불건전하므로 지불능력이 문제가 된다. 이 비율의 역수(逆數)는 자본부채비율(자기자본/부채총액)이 된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년 기준
16.99%업종 평균대비
낮음[ quick ratio, 當座比率 ]
경영분석에 쓰이는 관계비율의 하나로 산성시험비율이라고도 한다. 현금·예금·매출채권,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 등으로 구성된 당좌자산 합계액을, 외상매입금·단기차입금 등의 유동부채 합계액으로 나누어서 얻는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100 % 이상이면 좋다고 한다. 당좌자산은 화폐적 자산으로 지체없이 부채에 대한 지불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NAMU.WIKI 발췌
2024년 기준
2206.14%업종 평균대비
높음
매출액 : 145억
사원수 : 18명
기업형태 : 중소기업
[정보통신/과학/스포츠] 스몸비
스마트폰(smart phone)과 좀비(zombie)의 합성어
[정치/사회/문화] 세컨슈머
제2의'라는 뜻의 'second(세컨드)'와 소비자를 뜻하는 'consumer(컨슈머)'를 합친 단어
[정치/사회/문화] 팬더스트리
팬덤을 기반으로 한 산업
최근 면접
질문
전공 학점 보다 비전공 학점수가 높은 이유가 있다면?
삶의 목표, 신념, 좌우명이 있다면?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때는 언제인가요? (또한 극복한 방법에 대해서)
단체 생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핵심인재란 어떤 사람인가요?
면접꿀TIPS
바른 자세와 당당한 목소리는 진정성과 신뢰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핸드폰의 동영상 녹화기능을 활용하여 자신을 촬영해보세요.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확인하여, 자세, 표정, 목소리 톤 및 크기, 발음 등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자기소개서에서는 적극적이고 활발한 사람이라고 써져있는데 면접장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에는 기가 죽어서 제가 낯을 가리지만 침착하고 꼼꼼한 사람이라고 이야기를 하면 정말 망하는 겁니다. 그리고 앞서 이야기했던 내용과 뒤에 얘기하던 내용이 조금만 압박 질문을 해도 달라지게 되면 면접관도 실망하게 됩니다.+
물어보는 것에 대해서는 간결하게 대화하는 형식으로 말하세요 장점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저는 이런걸 좋아하고 이런걸 열심히해서 이게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딱 이렇게 끝내세요, 면접관은 너가 뭘 기획하고 뭘 기획해주기를 바라지않고 사실 관심도 없어요.장점을 물어보는 이유는 그냥 너가 궁금하고 이 친구가 얼마나 말을 알아듣고 이야기하는지 혹은 면접을 잘 준비했는지를 보는거지 뭐든지 회사와 엮으려고 하면 굉장히 인위적으로 느껴집니다.+
창의 면접의 핵심은 여러분이 얼마나 논리적인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느냐를 평가하는 것이다. 논리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중 하나는 여러분 스스로 이슈나 트렌드에 대해 주장을 하고 그 주장을 객관적이고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근거들로 뒷받침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이때 회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이슈나 트렌드를 주제 삼아 연습하면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된다. +
토론 면접에서는 중간중간 발표가 많이 있습니다.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도 자주 하고 팀 대표, 전체 대표로 발표할 기회도 주어지죠. 이 발표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면접관들에게 여러분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그것을 잘 보고할 수 있는지 어필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개인 발표 시간뿐만 아니라 팀 대표로 발표하거나 전체를 대표해서 발표할 기회가 있으면 최대한 활용해 여러분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발표를 잘할 수 있는지 어필하도록 하세요.+